
6시간 전
유교의 향기를 품은 '논산 돈암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논산에서 만나다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리 74
조선 시대 지방의 지식인들이 운영하던 사립 성리학 교육기관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서원입니다.
우리나라의 지방에는 다양한 서원이 있지만 그 중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알려진 영주 소수서원,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등 과 더불어 9개의 서원 안에 들며 봄에 가면 더욱 좋은 논산의 돈암서원을 소개합니다.
1934년 사계 김장생의 학문 및 덕행을 기리기 위해서 지역 유생들에 의해 지어진 돈암서원은 본래 인근 임리 숲말에 있었다 합니다.
훗날 홍수 피해로 인해 지금의 이곳으로 이전하게 되었고 지역의 공론과 학문을 주도한 교육기관입니다.
김장생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조선 중기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예학의 대가로 평가 받는 인물이랍니다.
유교 예법을 체계화하고 후학 양성으로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습니다.
그 공로로 세워진 곳이 이곳 돈암서원입니다.
돈암서원을 들어가는 길목부터 푸르른 자연이 함께 하는 길이라 한적하고 걷기 좋은데요.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관리도 굉장히 잘 되고 있습니다.
서원은 총 세 공간으로 나뉘어 있는데요.
제사와 기념을 하기 위한 제향 공간부터 공부와 교육 활동이 이루어진 강학공간, 그리고 교류와 유식이 이루어진 생활공간으로 나뉩니다.
전통적인 전학후묘의 구조로 앞쪽은 학문을 배우는 공간인 명륜당과 학생들이 거처했던 지금의 기숙사 역할의 동재, 서재 그리고 유생들이 모여 공부하고 토론하며 인격을 수양하던 공간이기도 합니다.
마당을 중심으로 절제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뒤편으로는 김장생을 비롯한 예학 인물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을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매년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실제로 졔향 의식이 거행되고 있습니다.
빨간 외삼문을 지나 들어오면 제일 먼저 보이는 곳은 교류와 유식이 가능한 공간 산앙루입니다.
이곳에 올라 아름다운 논산의 경치와 산새 소리를 들으며 벗들과 편하게 쉬고 놀며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는 잊고 의를 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서원 안으로 들어오면 강학 공간 즉 유생들이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공간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입구에서 왼편으로 보이는 공간에 집중해보면 좋은데요.
이곳 응도당은 강학 활동이 이루어진 곳 중 핵심 건물이자 우리나라의 서원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강당이기도 합니다.
목재 건축물 뒤편으로 푸른 빛의 풀들이 너무나 감성적으로 다가오는 곳이라 잠시 앉아서 그곳의 경치를 감상하는 것도 좋습니다.
옛 건물의 제도인 하옥도를 본받아 지어진 응도당은 건축학적으로도 굉장한 가치를 평가받는 건물인데요.
현재 보물 제 1569호로 지정된 건물이니 돈암서원에 방문하신다면 다른 것은 안 보고 오신다고 해도 이곳 응도당은 꼭 들러 구경하고 오시는 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응도당 마루에 앉아서 자연 소리와 더불어 쉬다 보니 드는 생각은 이런 곳에서 공부를 한다면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과거에는 교육의 역할을 하던 이곳이 지금의 우리에게는 힐링의 장소가 아닐까 하는데요.
게다가 우리의 문화유산이 세계에서도 인정한 곳이니 우리 조상들에 대한 감사와 전통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까지 가득해집니다.
지금 같은 봄 시즌에만 볼 수 있는 풍경이 더욱 이곳을 아름답게 하는데요.
응도당 옆으로 위치한 정희당에는 아름드리 철쭉이 피어나고 있더라고요.
한국의 건축미는 꽃을 만날 때 그 아름다움이 배가 되는 듯 합니다.
정희당은 김장생의 부친이신 김계휘가 후학을 양성하던 공간이라고 합니다.
김장생이 강학 활동을 하던 공간인 양성당 앞으로는 서원의 건립 등에 대한 업적을 알 수 있는 비석도 볼 수 있습니다.
양성당 앞쪽에 두 개의 건물은 유생들이 기숙하던 공간입니다.
왼편은 정의재 오른편은 거경재로 기숙생활과 개인 학습을 하던 공간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제향 공간을 볼 수 있는데요.
서원의 제일 안쪽에 위치해 있는 숭례사는 제향 인물들의 위패를 보관하며 제향 의례를 시행하는 곳입니다.
이곳은 비공개되는 공간이라 앞에서만 잠시 둘러보고 오른 편에 위치한 전사청으로 향해봅니다.
제사를 위해 사용되는 그릇인 제기가 보관되는 공간인데요.
안으로 들어와서 보니 더욱 운치있고 좋더라고요.
돈암서원을 쭉 둘러보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다시 한번 볼 수 있어 굉장히 유익한 시간이었는데요.
올해 2025년에는 돈암서원 예힐링캠프라는 프로그램을 진행을 합니다.
조선시대 나라의 정책이 옳지 앟을 때 바르게 나아갈 수 있게 의견을 제시하는 만인소를 부활하여
현대에 맞게 돈암 만인소를 운영하여 우리의 예절을 배우는 프로그램과
서원에서 다같이 아이를 기른다 는 의미로 발달장애인들의 다양한 문화체험과 배움의 장을 마련하는 서원동자 프로그램,
그리고 서원의 유생이 되어 우리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인 예미락까지
아이부터 성인까지 모두 참여 가능한 알찬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더라고요.
그 밖에도 종가집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참여 가능하니
돈암서원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사항 및 예약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돈암서원 체험 프로그램 **
돈암서원 체험 프로그램(명) |
1. 돈암 만인소운동 |
2. 서원 동자 |
3. 예미락 |
참여 기간 |
2025.03.01~2025.12.31(총 25회) |
2025.03.01~2025.12.31(총 12회) |
2025.03.01~2025.12.31 (총10회) |
참여 대상 |
어린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상 |
발달장애인 및 기관 관계자 |
일반인, 관광객, 외국인 등 |
참여 비용 |
무료 |
무료 |
1 인당 1 만원(점심 식사 비용) |
프로그램 문의 |
070-7788-0133 |
따뜻한 봄 날, 우리의 문화유산과 함께 힐링의 시간을 가지시길 바라겠습니다.
돈암서원
○ 위치 :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
○ 이용 시간 :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00~17:00
○ 입장료 : 무료 이용가능
○ 주차료 : 무료 이용가능
○ 관리사무소 : 041-733-9978
* 촬영일자 : 2025-04-21
※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 dragons님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충남 #충남도청 #충남여행지 #국내여행 #충남여행 #충남가볼만한곳 #충남방문의해 #충남관광 #충청도여행 #충청도가볼만한곳
- #충청남도
- #충남
- #충남도청
- #충남여행지
- #국내여행
- #충남여행
- #충남가볼만한곳
- #충남방문의해
- #충남관광
- #충청도여행
- #충청도가볼만한곳
- #논산
- #돈암서원
- #논산여행
- #세계문화유산
- #유네스코
- #논산관광
- #논산산책
- #논산데이트
- #논산아이랑갈만한곳
- #논산당일치기
- #논산가볼만곳
- #충남데이트
- #충남산책
- #충남아이랑
- #충남당일치기여행
- #충남갈만한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