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시간 전
제주 에너지 대전환 1년 성과 가시화 · 수소경제 확산
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지난해 5월 재생에너지 100% 달성과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한
‘2035 에너지 대전환’을 선포한 이후1년만에 가시적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를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본격추진,
탄소중립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견인하는 기반을 다져가고 있는데요.
지난 4월에는 일시적 RE100을 달성하며 2035 탄소중립 목표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함께 확인해볼까요?
'2035 에너지 대전환'
재생에너지·청정수소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대전환 기반 마련
"에너지 자립을 넘어 글로벌 에너지 전환모델 구축"
→ 2035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아젠다 제시
▶ 선도적인 탄소중립 정책 실행으로 전국 최고 재생에너지 보급률 달성
▶ 기존 전력시장 제도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시장제도 도입
▶ 에너지 대전환 방향 제시 및 국내 최초 청정 수소 상용화
🔎주요성과
∨그린수소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
그린수소 생산시설의 상용화 단계 진입 및 연간 생산량 1.9톤→29톤 대폭 확대
수소모빌리티의 다양화와 도심권에 이동형 수소충전소 상반기중 개소 예정
∨재생에너지 및 수소기반 확산을 뒷받침할 제도적 기반강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통한 에너지 자립 기반을 강화
지난해 10월, 광역지자체 중 유일한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선정,
▶녹색성장과 신산업 육성의 전략적 기반을 마련
∨중앙부처와의 협업을 통한 인프라 구축 및 신산업 육성
산업통상자원부 : 10.9㎿ 규모 추가 그린수소 생산시설 구축사업을 추진하여 제주형 최적 모델을 발굴할 계획
환경부 : 수소충전소 확충, 모빌리티 보급, 음식물폐기물 활용 하루 500kg 청정수소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협력
국토교통부: 2026년 완성을 목표로 RE100 수소시범단지를 조성, 이후 수소도시 사업으로 확장
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기술혁신허브 조성.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2035년까지 31.9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4만 7,000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
📝향후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탄력 확보 및 다양한 분야(1차 산업, 관광·서비스업 등)로 확대
📌분산에너지 등 에너지 활용을 위한 유연성 자원 확대 및 출력제한 해소 솔루션 마련
📌신재생e · 그린수소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에너지대전환 2035 추진에 따른 도민 공감대 형성
📌지속적인 에너지대전환 동력 마련을 위한 정부협력 강화
「2035년 에너지 대전환 비전」 목표 달성
문의
미래성장과장
064-710-4710
사업에 대한 기타 세부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확인해주세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도정소식 > 입법·고시·공고)
▼ 제주도청 누리집 바로가기 ▼
지속적인 기술 개발, 제도적 지원,
도민 참여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대한민국 에너지 전환을 선도해 나가겠습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 #제주
-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청
- #빛나는제주
- #탄소중립
- #제주재생에너지
- #제주탄소중립
- #제주에너지대전환
- #2035탄소중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