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타임머신을 타고 80년 5월로, (구)광주적십자병원
45주년 5·18을 맞아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배경이자
5·18사적지 11호인
(구)광주적십자병원을
11년 만에 일시 개방했습니다.
5월 광주에 방문해야 하는 이유가
또 한 가지 늘었는데요.
이 기회를 놓칠 수 없죠!
(구)광주적십자병원을 방문해 보았어요~
[ 위치 ]
동구 천변우로 415
[ 개방 기간 ]
2025.05.31.(토)까지
[ 개방 시간 ]
오전 10시~오후 5시
[ 관람료 ]
무료
[ 개방 구간 ]
전면주차장, 응급실, 1층 복도, 중앙현관, 뒷마당 등
광주적십자병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부상자 치료와 자발적 헌혈이 있었던
역사적 장소입니다.
1996년부터 서남대병원으로 운영되었다가
2014년 폐쇄되었는데요.
현재는 광주광역시가
사적지 보존을 위해 매입해 관리 중이며
TF팀을 통해 보존·활용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해요.
11년 만에 새롭게 개방하며
현재는 한 달 동안
‘멈춘 공간의 이야기, 그리고 새로운 시작’
전시도 열리고 있으니 꼭 둘러봐야겠죠?
병원 입구를 따라 걸어가 보았는데요.
11년 넘게 문을 닫았던 곳이라
병원 건물은 시간이 멈춘 듯했어요.
병원 내부는 1층만 개방되어 있는데요.
당시 광주적십자병원은 도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이에 있던 병원이었는데요.
그래서 5·18 당시 정말 많은 부상자들이
이곳으로 이송되었다고 해요.
실제로 이 장소를 보면
많은 환자를 수용하기엔
공간이 협소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그래서 복도에까지
부상자들을 눕혔다고 해요.
특히 80년 5월 21일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집단 발표를 했던 날,
병원은 정말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모든 환자를 감당할 수 없었고
부상이 심각한 환자들을
전남대병원과 광주기독병원으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당시 의료진의 수도 부족했다고 하는데요.
의료진도 쪽잠을 자며
환자를 돌보고 치료했다고 해요.
이때 많은 시민들이 함께 부상자를 간호하고
의료진의 먹을 것을 챙기는 등
의료진과 함께 위기를 헤쳐 나갔다는데
그 연대의 힘이 정말 대단합니다.
처치실 구역에서는
80년 5월 당시 병원에서 근무했던 근무자와
오월 해설사가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설명하는
인터뷰 영상도 상영하고 있었습니다.
오후 1시 30분 이후에는
5·18기념재단의 오월 해설사가 상주해
관람객들에게 무료 해설도 제공한다고 하니
시간을 맞춰서 방문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중앙현관 구역에는 5·18 당시
중앙일보 사진기자로 활동했던 이창성 사진 기사의
사진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계엄군의 과격한 진입으로
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자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헌혈에 참여했는데요.
부상자를 치료하는 모습,
헌혈하는 시민들의 모습 등을 만날 수 있는데요.
시민들의 연대 의식과 공동체 의식은
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구)광주적십자병원 개방 첫날부터
많은 분이 방문했다고 하는데요.
둘러보고 나니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공간을
보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것 같아요.
5·18의 의미를 잊지 않고
되새기며 살아갈 수 있도록
앞으로 상시 개방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오월 광주에서만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장소, 특별한 경험, 특별한 감동!
(구)광주적십자병원을 방문해 보세요~
- #광주광역시
- #광주
- #518
- #광주적십자병원
- #광주광역시소셜기자단
- #광주소셜기자단